•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고리2호기 중대사고 나면 1주 안에 최대 165명 사망"

등록 2022.07.18 13:40:30수정 2022.07.18 15:47: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3만4700명"

부울경 지역, 한빛 있는 광주보다 최대 7.7배 큰 방사선 피해

"고리핵발전소 지진대비 좋은 입지 아냐"…보수적 안정성 평가 필요

[부산=뉴시스] 권태완 기자 = 부산환경운동연합이 18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원전 전문가들과 함께 고리 2호기 수명연장과 사용후핵연료 대응에 관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2.07.18. kwon97@newsis.com

[부산=뉴시스] 권태완 기자 = 부산환경운동연합이 18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원전 전문가들과 함께 고리 2호기 수명연장과 사용후핵연료 대응에 관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2.07.18. [email protected]



[부산=뉴시스]권태완 기자 = 고리2호기에서 중대사고가 발생하면 1주 내 사망자가 최대 165명, 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3만4700명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은 18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원전 전문가들과 함께 고리 2호기 수명연장과 사용후핵연료 대응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원자력안전연구소 한병섭 소장은 '중대 사고와 방출 시나리오 연구'에서 고리2호기에서 중대 사고가 발생했을 때 1주 내에 죽음에 이르는 조기 사망자가 평균 9.22명에서 최대 165명(부산 96명, 울산 69명) 발생한다고 밝혔다.

이어 암 발생으로 인한 사망자는 평균 8220명에서 최대 3만4700명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 소장은 "고리발전소 단지가 부산과 울산 등 대도시가 인접해 있어 다른 핵발전소 지역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전체 핵발전소 총량을 기준으로 각 광역지역의 중대사고 피해를 분석한 결과 주민피폭평균선량(Sv시버트)이 부산은 1.982, 울산은 2.46으로 한빛원자력발전소와 가까운 광주(0.319)에 비해 6.2~7.7배 더 큰 피해를 받는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알렸다.

[부산=뉴시스] 권태완 기자 = 부산환경운동연합이 18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원전 전문가들과 함께 고리 2호기 수명연장과 사용후핵연료 대응에 관한 기자회견을 하고있다. 2022.07.18. kwon97@newsis.com

[부산=뉴시스] 권태완 기자 = 부산환경운동연합이 18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원전 전문가들과 함께 고리 2호기 수명연장과 사용후핵연료 대응에 관한 기자회견을 하고있다. 2022.07.18. [email protected]


한 소장은 또 테러공격이나 사용후핵연료 저장소 화재의 경우 더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것을 우려했다.

"테러 등으로 고리2호기에서 체르노빌 사고와 같은 중대사고 발생했을 때 전국에서 최대 633명의 조기사망자가 발생한다"면서 "사용후핵연료저장소가 파괴되고 화재가 발생하면 최대 76만4000명까지 조기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지아이 지반정보연구소 김성욱 소장은 "경주와 포항 지진으로 국내 핵발전소, 특히 동해안에 있는 발전소들의 입지가 과거의 생각과 달리 좋지 못하다는 사실들이 밝혀지기 시작했다"고 했다.

김 소장은 1990년대부터 주목받기 시작한 '활성단층'이라는 개념은 고리2호기가 지어질 1970년에는 고려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수명 연장을 하려면 지진 위험과 활성단층에 대한 안전기준부터 제대로 적용돼야한다"고 주문했다.

또 김 소장은 "'한국은 지진 안전지대'라는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 좁은 지역에 인구가 밀집돼 있고, 그 지역에 현재 다수 호기의 원전이 운영 중이라 안정성에 대한 평가가 이전보다 보수적으로 되어야 하고, 이에 따른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은 "안전성과 위험을 무시한 고리2호기 수명연장은 800만명이 거주하는 부산, 울산, 경남 시민들을 위험으로 몰아넣는 정책"이라면서 "핵폐기물 대책 없고, 안전을 무시한 고리2호기 수명연장 추진을 즉각 중단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