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면허정지 중단' 당근도 효과 없나…출근 전공의, 일주일 간 4명 늘어(종합)

등록 2024.06.12 10:54: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복귀자 처분 중단 발표 후 일주일…4명 증가 그쳐

사직 수리된 전공의 19명…전체의 0.2%에 불과해

서울대병원·의협 이어 '빅5 병원' 집단휴진 가능성

환자 "참담함 느껴…비인도적 파업 즉각 중단해야"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지난달 29일 서울 시내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2024.05.29. kgb@newsis.com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지난달 29일 서울 시내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2024.05.2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정부가 면허정지 등 행정처분 절차 중단을 선언하며 전공의 복귀를 촉구한지 일주일이 됐지만 대규모 복귀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의료계 집단휴진 불씨는 더욱 거세지는 모양새다.

1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전국 211개 수련병원에서 출근한 전공의는 1025명으로 전체 현원 1만3756명 중 7.5% 수준이다.

출근한 전공의는 지난 5월30일 874명에서 정부가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 및 업무개시명령 철회, 복귀자 행정처분 중단을 발표한 지난 4일 1021명으로 증가하면서 1000명을 넘겼다. 하지만 이후 7일 1027명, 10일 1036명, 11일 1025명으로 큰 폭의 변화는 보이지 않고 있다. 7일을 기점으로 하면 되레 줄었다.

단, 출근한 전공의 수 감소가 추가 이탈로 인한 감소인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복지부도 "출근자 수의 일자별 증감을 복귀(이탈)로 곧바로 해석하기보다는 추세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는 가운데 사직 수리도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레지던트 1만508명 중 사직 수리된 경우는 19명으로 사직률은 0.2%다. 레지던트 사직자는 지난 7일 18명에서 전날 19명으로 1명 늘었다.

전공의 복귀라는 결과물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가운데 의대 증원을 둘러싼 의정 갈등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임현택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지난 9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의료농단 저지 전국의사대표자회의에서 투쟁 선포를 하고 있는 모습. 2024.06.09.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임현택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지난 9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의료농단 저지 전국의사대표자회의에서 투쟁 선포를 하고 있는 모습. 2024.06.09. [email protected]

서울대의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는 전공의 처분 중단이 아닌 '취소'를 요구하며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집단휴진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대한의사협회는 오는 18일 개원의 집단휴진과 함께 총궐기대회를 열 예정이다.

두 단체의 집단휴진 결정에 의대교수 단체들도 동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국 40개 의대 교수협의회가 가입한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은 11개 의대에서 18일 집단휴진 참여 여부에 대한 투표를 진행 중이다. 경북대, 계명대는 이미 휴진 결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빅5 병원' 중 한 곳인 삼성서울병원 등이 속한 성균관대 의대, 세브란스병원 등이 속한 연세대 의대 등도 의협 방침에 따라 18일 휴진에 동참할 예정이고, 서울아산병원 등이 속한 울산대 의대와 서울성모병원 등이 속한 가톨릭 의대도 관련 절차를 진행 중이다.

대형병원들이 잇따라 휴진 선언을 하면서 환자들의 피해와 불안은 더욱 커지게 됐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이날 오전 서울대병원에서 집단휴진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연다. 이들은 "비인도적인 의료계 총파업 결정을 즉각 중단하라"고 말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와 (사)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연합회, 중증아토피연합회 등은 오는 13일 오전 국회 정문 앞에서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 촉구 환자단체 공동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이들은 "지난 넉 달 간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장기간 의료공백으로 환자들은 큰 불안과 피해를 겪었으며, 이제 막 사태 해결의 희망이 보이는 시점에서 또다시 의료계의 집단휴진 결의를 보며 참담함을 느낀다"며 "환자단체들은 환자들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의료계의 집단휴진 및 무기한 휴진 결의를 철회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