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의대 증원에도 영재학교 경쟁률은 소폭 상승…5.96대 1

등록 2024.06.13 09:22:13수정 2024.06.13 10:42:5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종로학원, 전국 영재학교 7곳 경쟁률 분석

'의대 불이익'에 인기 감소 예측됐지만

오히려 증가…"경로 급변경 어려웠을 듯"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가 실시된 4일 서울 용산구 용산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1교시 국어 영역 시험 답안지를 작성하고 있다. 2024.06.04.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가 실시된 4일 서울 용산구 용산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1교시 국어 영역 시험 답안지를 작성하고 있다. 2024.06.0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정유선 기자 = 의과대학 정원이 대폭 확대됐으나 의대 지원시 불이익이 있는 영재학교 경쟁률은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종로학원이 한국과학영재학교를 제외한 전국 7개 영재학교의 2025학년도 신입생 원서접수 현황을 취합한 결과 총 669명 모집에 3985명이 지원해 5.96대 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5.86대 1이었던 지난해보다 소폭 오른 수치다.

전국에서 가장 경쟁이 치열한 영재학교는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로, 경쟁률은 7.52대 1이었다.

그 뒤로는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7.37대 1 ▲대구과학고 6.56대 1 ▲서울과학고 6.18 대 1 ▲광주과학고 5.58대 1 ▲경기과학고 4.99대 1 ▲대전과학고 4.09대 1 의 경쟁률을 보였다.

12일 원서접수를 마감한 한국과학영재학교는 아직 경쟁률이 공개되지 않아 집계에서 빠졌다.

앞서 전국 의대 모집인원이 대폭 늘어나면서 의대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이에 따라 영재학교는 경쟁률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었다.

이공계 인재 양성 명목으로 막대한 국고 지원을 받는 영재학교는 입학한 후 의약학계열 대학에 지원할 경우 징계·졸업 유예, 교육비·장학금 환수 등의 불이익을 받는다. 영재학교가 의대 통로로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

그러나 올해 영재학교 평균 경쟁률에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의대 증원 이슈가 이공계를 희망하는 최상위권 중학생들에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영재학교 지원자들은 사실상 초등학교때부터 영재학교 진학을 준비했던 학생들이라 갑작스럽게 일반고  등으로 진학경로를 바꾸기에는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영재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이 향후에라도 의대 진학을 위해 학교를 이탈할 가능성은 남아있다. 자퇴 또는 일반고로 전학을 가는 것이다. 영재학교 졸업 후 수능을 다시 봐 의대에 도전할 수도 있다.

영재학교 지원 후 탈락한 학생들이 명문 자사고 등에 지원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온다. 일반고보다 의대 수능 최저 기준을 맞추는 데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

임 대표는 "이공계 집중 육성정책과 맞물려 영재학교 내에서도 이공계 엘리트 학생들이 해당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여러 정책적 노력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