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조정래 감독 "'서편제' 보고 충격…전국 팔도 아름다움 담았다"
7월1일 개봉 영화 '소리꾼'…'귀향' 감독
대학시절 시나리오 바탕... '가족 복원' 메시지
"소리 자체가 주인공…대놓고 서편제 오마주"
[서울=뉴시스]영화 '소리꾼'의 조정래 감독. (사진=리틀빅픽처스)
오는 7월1일 개봉을 앞두고 만난 영화 '소리꾼'의 조정래 감독은 "오랜 꿈이었고 여기까지 오는데 결코 쉽지 않은 길이었다. 배우와 스태프들에게 모두 감사하다"며 "무엇보다 '귀향' 영화가 있었기 때문에 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조 감독은 방황하던 대학 시절, 임권택 감독의 영화 '서편제'를 보고 자신의 인생이 완전히 바뀌었다고 했다. 신작 '소리꾼'은 '서편제'의 오마주라고 밝힌 바 있다.
"1993년에 '서편제'를 보고 너무 충격을 받았죠. 해석이 안 돼서 몇 번이나 봤어요. 그때부터 영화를 하고, 우리 소리도 배워야겠다고 생각했죠. 대학 시절 저를 아는 사람들은 '소리에 미친 놈'으로 통해요."
이후 대학교 3학년 때 과제로 쓴 단편 시나리오가 지금의 '소리꾼'의 바탕이 됐다. 여기에 조 감독은 심청가를 연구하며 자신만의 가설 하나를 세웠다. 조선시대의 광대가 자신의 딸 대신 눈이 멀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건 아닐까, 가공의 인물을 상상했다. 그는 "부족하지만 제가 가장 잘 하고, 잘 아는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고 말했다.
'소리꾼'은 영조 10년 정국이 어수선한 시기, 소리꾼 학규(이봉근)가 납치된 아내 간난(이유리)을 찾아 떠나는 로드 무비다. 한국 뮤지컬 영화를 내세운 '소리꾼'은 흥이 넘치는 북 장단과 서민들의 정서가 녹아있는 판소리가 한데 어우러져 있다.
주인공 학규 역의 국악 명창 이봉근의 감정이 오롯이 담긴 소리가 극을 끌어간다. 조 감독은 "영화에서 모두가 주인공이지만, 한편으로 소리 자체가 주인공이라고 생각한다"며 "영화에는 판소리뿐만 아니라 민요도 나오고, 정가도 나온다. 다양한 장르를 녹였다. 음악에서 오는 감동도 있지만, 고전 한편을 다시 제대로 본 것 같다는 느낌을 주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시스]영화 '소리꾼'의 스틸 컷. (사진=리틀빅픽처스 제공)
"다들 청이를 지켜준다고 볼 수 있지만, 가만히 보면 청이가 이끄는 느낌이 있어요. 청이가 아니었다면 삶을 놓아버릴 수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죠. 과연 우리가 청이를 돌보는 건지, 청이가 우리를 돌보는 건지. 무조건 사랑받는다고 행복한 것도 아니고, 사랑을 줬을 때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데 상대가 그 뜻을 왜곡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죠. 우리 주변에 얼마든지 모난 돌도 있고, 그렇게 어우러지고 살아가는 게 인생이죠."
영화에는 전국 팔도의 아름다운 풍경과 계절을 담아냈고, '서편제'의 기억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조 감독은 "('서편제'와 같이)저희 영화도 로드 무비고, 예쁜 풍경화를 보여주고 싶었다"며 "전라도, 경상도 등 전국을 다니며 촬영했고 다들 고생을 많이 했다. 대놓고 '서편제'를 오마주한 장면도 있다. 최대한 생동감 있게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영화 '소리꾼'의 조정래 감독. (사진=리틀빅픽처스)
'소리꾼'에서 학규의 아내 간난 역이 아내에게 투영되기도 한다. 조 감독은 "간난 역이 제 아내와 성격이 똑같아요. 인생에서 저를 구해준 사람"이라고 웃으며 "아내는 전통 자수를 배우는데, (극에서 삯바느질을 하는)이유리씨에게 바느질과 자수하는 걸 알려줬다"고 말했다.
'소리꾼' 이후의 행보는 시나리오 작업을 예정하고 있다. 아직 집필을 하기 전이지만, 일본 홋카이도의 원주민인 소수 민족 아이누족에 대한 이야기를 다뤄보고 싶은 구상을 하고 있다. 아이누어로 아이누는 사람을 뜻한다.
조 감독은 "요즘 살기가 참 힘들다. 사람이 사람을 가까이 하는 게 안 되고 당연한 걸 누리지 못하게 됐다"고 안타까워하며 "사람 때문에 힘들지만 사람만이 희망이라고 생각한다. 영화를 통해 그 속에서 웃고 울고 행복해하며 소중한 가족들과 코로나19를 극복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