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낳지 않는 닭 AI가 선별한다…농가당 年 7000만원 사료비 절감
농진청 축산과학원 등 산학연 공동 개발
실제 농장 평가, 선별 정확도 95% 보여
설비 탈부착 가능…장비 이동설치 쉬워
[세종=뉴시스]농촌진흥청은 달걀 모음기(집란벨트) 위에서 이동하는 달걀을 인공지능 기술로 자동 인식하고, 케이지별로 수집한 달걀 수를 분석해 비산란계와 과산계를 구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사진=농진청 자료 캡쳐)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알을 낳지 않는 닭과 알을 덜 낳는 닭이 있는 케이지를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선별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은 달걀 모음기(집란벨트) 위에서 이동하는 달걀을 AI 기술로 자동 인식하고, 케이지별로 수집한 달걀 수를 분석해 비산란계와 과산계를 구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재)스마트팜연구개발사업단의 '스마트팜다부처패키지혁신기술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국립축산과학원, 전북대학교, 엘지유플러스, ㈜엠코피아가 공동 진행했다.
일반적으로 계군의 3% 내외는 알을 낳지 못하거나 덜 낳는 닭으로 분류된다. 이런 이상 개체 때문에 전체 산란계 사육 수를 기준으로 연간 389억원(추정치)의 사료비 손실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가 닭 치골 부위 등을 일일이 확인해 이상 개체를 솎아내기도 하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농가에서 활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나온다.
[세종=뉴시스] 농촌진흥청 비산란계와 과산계 구분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사진=농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이상 개체가 있는 케이지 식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계사 환경에서도 정확하게 달걀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했다. 달걀 모음기의 색상, 재질, 달걀의 색과 방향, 계사의 밝기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기술을 구현했다.
또 이상 개체가 있는 케이지와 케이지별 평균 산란 수 등을 컴퓨터나 태블릿 등으로 쉽게 볼 수 있는 웹 기반의 정보 수집(모니터링) 시스템도 개발했다. 실제 농장에서 평가해 보니 케이지 선별 정확도는 95%에 달했다.
특히 농가별로 각기 다른 케이지와 달걀 모음기 구조를 고려해 카메라를 포함한 설비를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계사를 청소할 때 장비 손상을 방지하고 이동·설치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농진청은 농가의 설치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을 적용한 구독 서비스 사업모델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임기순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원장은 "기술 개발에 참여한 공동 연구기업을 통해 사업화를 추진하고 기술 이용을 원하는 기업에도 인공지능 모델 및 관련 특허 등을 이전해 농가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뉴시스]전라북도 완주군 소재 농촌진흥청 본사의 모습.(사진=농진청 제공)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