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뜨거운 K-방산, 美 대선 이후 식지 않을까 '관심 집중'

등록 2024.07.03 06:00:00수정 2024.07.03 09:46:5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한화 에어로스페이스가 생산하는 천궁 다연장 로켓 발사대.(출처=한화 에어로스페이스 홈페이지). 2023.9.19.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한화 에어로스페이스가 생산하는 천궁 다연장 로켓 발사대.(출처=한화 에어로스페이스 홈페이지). 2023.9.19.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박지혁 기자 = 글로벌 지정학적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K-방산이 신규 수주와 실적 개선, 고환율 효과 등에 힘입어 올해 수출 200억 달러 달성이 유력시 된다.

특히 내년 이후에도 K-방산이 계속 실적 호조를 보일 지 여부는 오는 11월 미국 대선 결과가 핵심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국제적으로 확산되는 군비 시장에서 국내 방산업체들은 최근 5년 간 독보적인 수출 증가율인 177%를 기록했다.

최근 2년 간 수출액도 평균 150억 달러 이상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나타났다. 수출 대상국도 2023년 12개국으로 전년 대비 8개국이 더 늘었다. 이런 흐름은 올 들어서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단적으로 지난달 루마니아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 자주포를 구매하기로 확정했다.

수출 규모만 9억2000만 달러(약 1조2800억원)으로 지난 4월 폴란드와 다연장 유도무기 체계인 '천무' 수출 계약 16억4400만 달러(약 2조850억원)에 이은 두 번째 '조 단위' 계약이다.

루마니아는 현대로템의 K2 전차에 대해서도 현지 실사격 테스트 수행 후 협상에 돌입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레드백(장갑차)과 LIG넥스원 천궁-II(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도입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세계 최대인 미국 방산 시장을 향한 K-방산 수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한화는 지난달 미 해군 함정 사업을 하는 미국 필라델피아 필리 조선소 지분을 100% 인수했다. 글로벌 선박과 방산 시장을 겨냥한 것으로 미국 방산 시장 진출을 위한 거점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여기에 LIG넥스원이 비궁 미사일 수출을 위한 성능 평가를 진행 중이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다목적 무인차량 플랫폼인 '아리온스멧' 성능 평가를 밟는 것으로 알려졌다.

[창원=뉴시스] 강경국 기자 = 현대로템 올해 첫 폴란드 K2 전차가 12일(현지시간)부터 20일에 걸쳐 폴란드 그드니아(Gdynia)에 도착해 하역되고 있다. (사진=현대로템 제공). 2024.03.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뉴시스] 강경국 기자 = 현대로템 올해 첫 폴란드 K2 전차가 12일(현지시간)부터 20일에 걸쳐 폴란드 그드니아(Gdynia)에 도착해 하역되고 있다. (사진=현대로템 제공). 2024.03.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런 상황에서 오는 11월 조 바이든 대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선 결과가 변수로 꼽힌다. 당선자 정책 방향에 따라 K-방산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산업연구원이 내놓은 '미국 대선 향방에 따른 방위산업 영향 및 대응과제'에 따르면, 바이든 당선시 '긍정적', 트럼프가 당선시 '부정적'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이 보고서는 바이든 정권이 재집권할 경우 현재 한국과 추진 중인 방산협력이 더 강화될 것이라고 봤다.

미 국방부 공급망 보고서는 반도체·배터리·극초음속 미사일 등을 자국 공급망 취약 분야로 지목하며 공급망 리스크 대응을 위한 동맹국과 방산 협력을 추진하라고 제언했다.

또 바이든 정권의 우크라이나 지원이 이어지며 K-방산 수출 호조세가 지속될 수 있다.

반면 트럼프 정권이 들어서면 미국 방위산업 재건과 바이-아메리칸(Buy-American) 기조가 강화돼 한·미 방산협력이 후퇴할 수 있다는 관측이 들린다. 미국과의 무기체계 공동개발, 방산공급망 진입 등 최근 추진 중인 방산 협력도 위태로울 수 있다.

그러나 당장 미 대선에 누가 당선되더라도 K방산의 대세에는 큰 지장이 없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위경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미국 집권 정당과 상관없이 현 바이든 행정부의 연평균 국방비 증가율 3.3%가 높지 않은 수치이므로 향후 국방비 증가 가능성은 높다"며 "트럼프 후보가 당선되면 국방비는 더 크게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만큼 트럼프 후보도 국방력 강화, 군인 지원, 국방 개혁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어서다. 이 같은 미국의 국방 강화 기조는 K방산 실적에도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fgl75@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