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호흡곤란·이물감·쉰목소리…"혹시 가슴뼈·척추사이 암?"[몸의경고]

등록 2024.09.21 10:01:00수정 2024.09.26 08:12:2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기관지·식도·늑간 및 후두신경 등 압박

저선량 흉부CT서 발견 조기진단 가능

[서울=뉴시스]가슴뼈와 척추 사이 빈 공간에 발생하는 '종격동 종양'은 종양이 압박하는 기관에 따라 기침, 호흡곤란, 목의 이물감, 늑간 신경통 등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종격동 종양 환자의 흉부 CT 사진.(사진= 고려대 안산병원 제공) 2024.09.2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가슴뼈와 척추 사이 빈 공간에 발생하는 '종격동 종양'은 종양이 압박하는 기관에 따라 기침, 호흡곤란, 목의 이물감, 늑간 신경통 등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종격동 종양 환자의 흉부 CT 사진.(사진= 고려대 안산병원 제공) 2024.09.2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가슴뼈와 척추 사이 빈 공간에 발생하는 '종격동 종양'은 종양이 압박하는 기관에 따라 기침, 호흡곤란, 목의 이물감, 늑간 신경통 등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21일 의료계에 따르면 종격동은 가슴뼈와 척추 사이 빈 공간을 뜻한다. 해부학적으로는 양측 폐를 나누는 조직과 기관을 칭하는 용어로 가슴 안쪽 공간의 폐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말한다.

종격동은 심장을 기준으로 앞쪽의 전(前)종격동, 뒤쪽의 후(後)종격동, 이들 사이의 중(中)종격동으로 나뉜다. 종격동에는 대동맥과 주요 혈관, 기관지, 식도, 심장, 늑간신경 등 생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장기와 기관들이 자리하고 있다.

 종격동에 물혹이나 양성 종양, 악성 종양인 암이 발생하는 것을 종격동 종양이라 부른다. 가슴 정중앙 부위에 위치한 면역계통 기관인 흉선에 생기는 흉선암의 경우 매우 드물게 발생하지만, 5년 생존율이 30~50%로 예후가 좋지 않다.

종격동 종양은 종양이 생겨난 부위에 따라 다양해진다. 전종격동에선 흉선종이 가장 흔하고, 중종격동의 경우 여러 종류의 낭성 종양 및 림프종이 주로 발생한다. 척추에 가까운 후종격동에선 신경에 기원한 종양의 빈도가 높다.

증상은 종양이 압박하는 기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기관지를 압박하면 기침과 호흡 곤란을 겪고 식도를 압박하면 목에 이물감을 느낄 수 있다. 늑간 신경을 자극한다면 늑간 신경통이, 후두 신경이라면 애성(쉰 목소리)이 나타나는 등 주변 신경을 압박할 경우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

대동맥이 압박되면 경부의 동맥이 굵어지면서 피가 우회해서 흐르는 측부혈행이 나타나 평소에 없었던 부위에 정맥이 발견되기도 한다. 악성 종양 중 하나인 흉선종의 경우 절반 정도가 일시적인 근력 약화, 피로를 특징으로 하는 중증근무력증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중증근무력증으로 진단받게 되면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T)을 통해 역으로 흉선종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 이유다.

[그래픽=뉴시스] 기관지를 압박하면 기침과 호흡 곤란을 겪고 식도를 압박하면 목에 이물감을 느낄 수 있다. 늑간 신경을 자극한다면 늑간 신경통이, 후두 신경이라면 애성(쉰 목소리)이 나타나는 등 주변 신경을 압박할 경우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 (그래픽= 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2024.09.21.

[그래픽=뉴시스] 기관지를 압박하면 기침과 호흡 곤란을 겪고 식도를 압박하면 목에 이물감을 느낄 수 있다. 늑간 신경을 자극한다면 늑간 신경통이, 후두 신경이라면 애성(쉰 목소리)이 나타나는 등 주변 신경을 압박할 경우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 (그래픽= 안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2024.09.21.

근본적인 치료법은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적 완전 절제로, 전이 등 절제가 불가능할 경우 방사선 조사를 통해 치료한다. 전통적으로 가슴뼈를 반으로 갈라 절제하는 정중흉골절개술이 많이 시행됐고 최근에는 흉터와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흉강경 또는 로봇수술로 종양을 제거하기도 한다.

황진욱 고려대 안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는 “종격동 종양 중 성인에서 발병률이 가장 높은 흉선종의 경우 종양이 흉선종의 피막을 뚫고 나와 주변 장기로 침범해 재발 가능성을 높이는 만큼 이때는 종양 일부가 아닌 흉선 자체를 제거해야한다”며 “절제한 흉선에서 흉선종이 주변 조직을 뚫고 나왔다면 추후 방사선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고려대의료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공동연구팀이 단일공 로봇 흉선절제술과 기존 흉강경 흉선절제술의 효과를 세계 최초로 비교 분석한 결과 합병증 발병, 퇴원 일수 측면에서 로봇 수술의 안정성이 더 뛰어났다”고 했다.

종격동 종양의 위험 요인은 불명확해 특별한 예방법은 없다. 다만 건강 검진을 위해 시행한 저선량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T)에서 종격동 종양 소견을 발견하는 경우가 꾸준히 늘고 있는 만큼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황 교수는 “종격동 종양 역시 여느 질환과 마찬가지로 조기에 발견할수록 예후가 좋다”며 “건강검진에서 종격동 종양을 발견한다면 위치나 모양 등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자기공명영상촬영(MIR) 등 추가 검사를 시행한 뒤 적절한 치료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