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국민 10명 중 9명 "향후 10년 내 신종감염병 유행 예상"

등록 2023.03.29 13:00:2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질병청, 코로나 및 향후 신종감염병 인식조사

비용-효과성 높은 조치로 마스크 착용 의무

'백신 강요 안돼' 71%…효과적인 수단 79.8%

[서울=뉴시스] 2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한국리서치가 지난 2월 20일~22일 전국 성인 1000명 대상 '코로나19 및 향후 신종감염병 유행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95% 신뢰수준에서 ±3.1%p)를 조사한 결과, '신종감염병 및 코로나19 전망’을 묻는 질문에 '향후 10년 내 또 다른 신종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을 예상한다'는 대답이 91.5%였다. 2023.03.29. (사진제공=질병관리청)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2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한국리서치가 지난 2월 20일~22일 전국 성인 1000명 대상 '코로나19 및 향후 신종감염병 유행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95% 신뢰수준에서 ±3.1%p)를 조사한 결과, '신종감염병 및 코로나19 전망’을 묻는 질문에 '향후 10년 내 또 다른 신종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을 예상한다'는 대답이 91.5%였다. 2023.03.29. (사진제공=질병관리청)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권지원 기자 = 코로나19 유행이 안정세로 접어드는 가운데 국민 10명 중 9명은 향후 10년 내 신종감염병이 유행할 것이라고 전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민 과반이 현재 코로나19 위험성 수준이 심각하지 않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한국리서치가 지난 2월 20일~22일 전국 성인 1000명 대상 '코로나19 및 향후 신종감염병 유행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95% 신뢰수준에서 ±3.1%p)를 조사한 결과, '신종감염병 및 코로나19 전망’을 묻는 질문에 '향후 10년 내 또 다른 신종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을 예상한다'는 대답이 91.5%였다.

응답자 대다수가 신종감염병 유행 가능성을 전망한 가운데 '유행이 있을 것 같지 않다'는 응답자는 6.1%에 불과했다. 코로나19의 위험성 수준이 '심각하지 않은 작은 위협이다'라고 답변한 사람이 61.5%로 과반이 넘었다. '큰 위협'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0.6%, '전혀 위협이 아니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4.6%였다.

한편 응답자들은 정부의 지난 코로나19 대응 국가역량 중 ▲정보 제공과 소통(52.0%) ▲진단검사·역학·격리 등 공중보건 체계 역량(50.9%) 분야를 높게 평가했다.

감염병의 정치화 방지 및 과학적 대응을 강조하는 '정치사회적 역량(36.0%)', 백신·치료제 개발 등 '생명과학기술 연구개발 역량(35.9%)', 국민의 불안·공포를 예방하는 '심리방역 역량(33.0%)'은 미흡했다고 평가했다.

향후 또 다른 신종감염병 유행 대비를 위해 강화해야 할 항목으로는 응답자 약 절반이 '생명과학기술 연구개발 역량(51.1%)'을 꼽았다. 

코로나19 대응 시 비용 효과가 컸다고 인식한 조치를 묻는 문항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화(76.7%) 조치가 가장 비용-효과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다음으로 확진자 격리 의무화(49.6%), 해외출입국 검역절차 강화(31.7%) 순으로 나타났다.

백신 접종과 관련 '어떤 경우에도 백신 접종은 강요될 수 없다'는 의견이 71%로 과반 이상이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통한 면역 형성이 가장 효과적인 대응 수단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79.8%로, 그렇지 않다고 한 비율(18.4%)보다 높았다.

보건 당국이 백신 접종 추진 시, 국민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는 투명한 정보제공과 소통(77.1%), 접종 피해 지원대책(59.8%), 이상반응 경험에 공감하고 이해하려는 정책 반응성(54.5%)을 강화할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신종 감염병 유행시 정보공개 수준에 대해서는 '현재와 같은 정보공개의 수준을 유지하면 된다'는 응답자가 64%,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24.1%, '축소할 필요가 있다'는 11.9%로 나타났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